ClickCease ePortal 스토리지 최적화 개선 - TuxCare

인기 뉴스레터 구독하기

4,500명 이상의 Linux 및 오픈소스 전문가와 함께하세요!

한 달에 두 번. 스팸이 없습니다.

ePortal 스토리지 최적화 개선

2022년 2월 17일 TuxCare 홍보팀

TuxCare 팀은 항상 제품이 제공하는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우리가 파악한 문제점은 KernelCare 패치 세트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저장 공간과 해당 정보를 ePortal 배포로 전송하는 데 필요한 네트워크 대역폭의 양이었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개선 사항 중 하나는 일부 시나리오에서 스토리지 요구 사항을 최대 80%까지 줄이면서 전체 기능을 유지하는 새로운 캐시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ePortal을 구성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현재 ePortal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패치 세트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며, 스토리지 요구 사항은 이러한 패러다임에 따라 만들어졌습니다(최소 100GB, ePortal 배포에 사용할 수 있는 권장 스토리지: 200GB).

e포털 아키텍처 개요

이미지 1 - ePortal 상위 수준 개요

캐시 모드를 사용하면 스토리지를 약 20GB로 줄이면서도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 가능한 경우 전체 패치 세트 대신 메타데이터만 처음에 전송하는 더 스마트한 데이터 전송과 이전 방식과 달리 실제로 사용된 패치 세트의 보존 기간을 2주로 설정한 조합을 통해 달성할 수 있습니다.

캐시 모드가 포함된 ePortal 아키텍처

이미지 2 - 캐시 모드가 있는 ePortal의 상위 수준 개요. 보호된 호스트가 실제로 요청하지 않는 한 패치 DB는 더 이상 전체 패치셋을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지 않습니다.

개념적으로는 웹 프록시가 매번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 자주 사용하는 콘텐츠를 캐시하는 방식과 유사합니다(기존의 ePortal 통신 프록시 정의 기능과 혼동하지 마세요).

예를 들어, 새로운 패치셋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ePortal은 해당 패치셋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다운로드합니다.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실제로 필요한 경우, 평소와 같이 패치셋을 다운로드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요청하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응답하기 위해 최대 2주 동안 ePortal 시스템에 저장합니다.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는 동일한 배포판을 실행하는 여러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나리오가 가장 일반적입니다.  

현재 캐시 모드는 먼저 ePortal 서비스를 중지한 다음 다음을 설정하여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CACHE_MODE = True

/usr/share/kcare-eportal/config/local.py에 위치한 ePortal 구성 파일에 추가한 다음

kc.eportal cache-mode --fetch-meta

을 클릭한 다음 ePortal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세요. 모든 변경 사항과 마찬가지로 소규모 배포 또는 랩 시나리오에서 테스트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이 기능은 그 자체로도 이미 기존 ePortal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있지만, 팀은 이 캐시 모드를 더욱 확장하고 개선할 새롭고 흥미로운 기능을 개발 중입니다.

당사는 워크플로와 제품 사용을 개선할 수 있는 제안과 아이디어에 항상 열려 있습니다. 현재 사용 중인 ePortal/KernelCare 프로세스를 개선하거나 아직 다루지 않은 방식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당사에 문의해 주시면 기꺼이 논의해 드리겠습니다.

KernelCare Enterprise, ePortal 및 기타 TuxCare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안정적인 라이브 패치 솔루션으로 IT 운영을 간소화하는 방법을 TuxCare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Kernel 재부팅, 시스템 다운타임 또는 예정된 유지 보수 기간 없이 취약성 패치를 자동화하고 싶으신가요?

TuxCare로 라이브 패치에 대해 알아보기

TuxCare 게스트 작가 되기

시작하기

메일

가입

4,500

Linux & 오픈 소스
전문가!


뉴스레터 구독하기